7강까지는 중기추세를 취하는 매매법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8강부터는 이러한 매매법이 만들어지는 이론적인 토대를 점검하고, 활용하는 법을 다룬다.
균형표는 전환선과 기준선으로 구성된다. 이들 선은 능동적으로 변하기도 하고 수동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특히, 수동적으로 변하는 균형표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예비계산이라 한다.
전환선과 기준선의 연산법
전환선은 캔들 9개 주가변동폭의 중간값이다. 기준선은 캔들 26개 주가변동폭의 중간값이다.
계산 방식은 동일한데, 캔들의 갯수만 다르다.
다음은 미래생명자원의 사례이다.
현재 기준선의 값은, 과거 25캔들과 오늘까지 변동의 중간값이다. 위 그림은 이를 시각화한 것이다.
동일 위치에서 전환선도 그러하다.
현재 전환선의 값은, 과거 8캔들과 오늘까지 변동의 중간값이다. 위 그림은 이를 시각화한 것이다.
전환선과 기준선의 변동방식
전환선과 기준선은 기간내의 최고가와 최저가에 의해 영향받는다.
만약 전환선이 오른다고 가정하자. 이때 최고가가 상승했을 수도 있고, 최저가가 상승했을 수도 있다.
최고가가 상승하면서 전환선이 상승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변한다고 한다.
반대로, 최저가만 상승하면서 전환선이 상승하는 것을 수동적으로 변한다고 한다. 기준선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은 하이브의 예시이다.
두군데 음영처리된 동그라미로 서로 다른 기준선의 상승에 대해 알아보자.
왼쪽의 상승은 능동적인 상승이다. 과거 26캔들 범위를 살펴보자.
최저가는 170300으로 고정이다. 최고가는 하루가 지나며 상승한다. 따라서 기준선은 상승한다.
오른쪽의 상승은 수동적인 상승이다. 과거 26캔들 범위를 살펴보자.
최고가는 변동이 없다. 하루가 지나며 최저가가 계산에서 제외되므로 최저가는 상승한다. 따라서 기준선은 상승한다.
왼쪽의 상승은, 주가가 상승해야 오르는 것이다. 사전에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오른쪽의 상승은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상승할 것임을 미리 알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며 최저가가 제외되기 때문이다.
예비계산의 가능성
따라서, 기준선의 상승 시기는 저가 발생 25일 이후이다. 즉, 저가 포함 총 26캔들째의 위치에서 상승한다.
또한, 전환서도 그러하다. 저가 포함 9캔들 째의 위치에서 상승한다.
다음은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예시이다.
저점의 위치를 체크하면 기준선이 상승할 시기를 내다볼 수 있다.
이처럼 상승 혹은 하락의 시기를 사전에 계산해보는 것을 일목균형표에서 예비계산이라 일컫는다.
이때 중요한 전제조건이 있는데, 해당 저점 26일 이후에 기준선이 상승하려면 26일이 경과하는동안 저점을 깨면 안된다. 저점이 깨지면, 거기에서 부터 새롭게 26일을 계산해야한다.
호전의 시기, 기준선 상승의 시기
호전과 기준선 상승을 예측하는 것은 매매타점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음은 하이브의 예시이다.
저점에서부터 9일과 26일 위치를 살핀다. 적어도, 균형표 호전은 저점에서 9일이 지난 뒤 며칠 이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볼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도 11일 째에 균형표 호전이 발생하였다.
적어도, 기준선 상승은 저점에서 26일이 지난 뒤 발생할 것으로 내다볼 수 있다.
그러나 주가는 급등하여 17일째에 최고가를 높이며 즉시 상승했다.
이처럼 균형표의 수동적 변동에 대한 예비계산은 매매타점을 대비하는데 도움이 된다.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강. 횡보시세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0) | 2023.05.20 |
---|---|
9강. 균형표의 지지저항과 매물소화 (0) | 2023.05.19 |
7강. 매매를 기계적으로 수행하기 (0) | 2023.05.18 |
6강. 상승여력을 가늠하기 (2) | 2023.05.18 |
5강. 상승의 지속기간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