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

4강. 균형표의 응용편

SMALL

이번에는 균형표의 응용편을 다룬다. 일목균형표에서 기준선과 전환선 두가지를 크게 균형표라 일컫는다. 이때, 전환선이 기준선을 올라타면 균형표가 호전되었다고 하고, 그 반대는 균형표가 역전되었다 한다. 일목산인은 초보자에게 가장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일목균형표의 매매 메뉴얼을 알려주었다. 그 내용에 대해 소개한다.

 

지수, 그리고 종목

가장 먼저 시장 지수를 고려한다. 한국 증시의 경우는 코스피와 코스닥이다. 코스피와 코스닥에 대해서 전환선이 기준선을 올라타는지 확인한다.

코스닥 지수이다. 사진에서 맨 처음 균형표가 호전된곳은 1.17이다. 이후 재차 호전된 시기는 3.23이다.

 이처럼 지수가 호전되며 방향을 잡으면 그 시기에 자연적이며 매수시대인 종목을 선별한다.

 

3.23 기준 코스닥에서 시세가 자연스러운 종목은 총 8가지인데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스피지, 엘앤에프, 에스엠, 포스코엠텍, 미래나노텍, 성일하이텍이 그러하다.

 

이것들 중 해당 시기에 균형표가 호전되거나, 일목에서 다루는 추가 매수 시기인 종목들을 매수한다면 안전하게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바닥에서 부터의 연속 신고가의 수가 중요하다. 특히 갭이 있으면 더 좋다.

자연스러우면서 매수시기인 종목은 정말 다양할 수 있는데, 일목산인은 기준을 제시하여 종목을 골라낼 수 있도록 꼬집는다.

 

해당 시기 전후로 큰 상승을 준 성일하이텍이다. 바닥에서부터 4연속 신고가를 내며 갭으로 상승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위의 예시에서는 바닥에서부터 갭을 포함한 신고가를 연속으로 준 뒤

약간의 주가 하락을 주며 균형표를 호전시킨다. 이후 재차 상승을 주며 크게 주가가 상승한다.

 

일목산인은 크게 갈 수 있는 종목을 고르기 위해서, 바닥에서부터 상승하는 기세가 강한 종목을 택하는 것이 좋다고 일렀다. 그러한 종목을 고르는 방식으로 바닥에서의 신고가 수를 세고 갭이 있는지 점검한다.

 

  일단 호전되고 기준선위에 주가가 올라탄 뒤에는 기준선을 절대 하회해서는 안된다.

이후 보유하면서 점검해야할 사항은, 주가가 기준선을 하회하는지이다. 주가가 기준선을 올라탄 이후로는 종가 기준으로 기준선을 하회해서는 안된다.

이는 상승추세를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것이다.

 

위의 성일하이텍의 예시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균형표가 호전된 이후에는 종가기준으로 꼭지까지 기준선을 하회하지 않는다.

 

이후의 시세를 포함한 성일하이텍이다. 균형표가 역전되는걸 기다린 이후 크게 하락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성일하이텍은 이처럼 주가 천장을 만든 이후, 종가 기준으로 계속해서 기준선 위에서 머무르다가 결국 하회하며 하락을 시작했다.

 

 

1~3강의 내용을 종합하여 매수하는 방법을 좀 더 날카롭게 다듬어 보았다.

역시 일목산인이 지적한 대로, 매일 변동이 적은 균형표를 바라보면서 지수의 호전을 기다리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주식은 기다림과 인내가 중요한 법이고, 언제나 가장 신중하게 매매되어야한다. 

LIST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강. 상승여력을 가늠하기  (2) 2023.05.18
5강. 상승의 지속기간  (0) 2023.05.17
3강. 자연적인 시세와 인위적인 시세  (0) 2023.05.15
2강. 저점에서 매수하는 법  (0) 2023.05.14
1강. 주식 투자는 해도 좋다  (2) 202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