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

5강. 상승의 지속기간

SMALL

일목균형표는 시세의 중심점을 찾고, 그 점을 벗어나면 벗어난 방향으로 크게 쏠린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가격에서도, 시간적으로도 마찬가지이다.

기준선은 가격의 중심점 중 하나이다. 오늘은 시간의 중심점에 대해 다룬다.

 

일목균형표 시간론의 개괄

일목균형표는 시간적인 분석에 대해 '스팬'이라 통칭하며 다룬다. 통칭되는 요소로는 횡보 시세의 탈출, 모멘텀, 매물대, 상승과 하락의 기간, 종합적인 판단과 같이 총 5가지가 있다.

 

일목산인은 시간론을 언급하면서도 시간론에 대한 내용을 모두 저술하진 않았다. 그에 대한 분석방법은 스스로 터득하라는 것이다. 따라서 중구난방이고 배우기 난해할 수 밖에 없다. 이럴때일 수록 확실한 사실부터 점차 뻗어나가는 것이 합당하다.

 

5강에서는 이때, 상승과 하락의 기간에 대해 한 시간론에 집중한다.

 

추세가 지속되는 기간

상승과 하락의 기간은 추세의 수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추세란, 방향성을 가져서 한쪽으로 쏠린 시세이다. 상승하는 방향성을 가지면 상승추세, 하락하는 방향성을 가지면 하락추세라 일컫는다.

반대로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하는 시세를 횡보시세라 한다.

 

시세는 보는 시야에 따라서 미세, 소세, 중세, 대세, 초대세 등으로 나뉜다.

미세는 약 9~26일 범위의 시세이다. 대표적으로 9일 지속된다고 한다.

소세는 약 26~76일 범위의 시세이다. 마찬가지, 26일 지속된다. 이어지는 것도 동일하다.

중세는 약 76~226일 범위의 시세이다.

대세는 약 226~676일 범위의 시세이다.

초대세는 676일을 넘어가는 범위를 일컫는다.

코스피 지수 일봉이다. 미세, 소세, 중세, 대세 단위의 하락추세를 표시했다.

균형표의 교차를 발생시키는 시세는 어느정도의 규모를 가질까?

위의 하락 시세에서 균형표 역전 이후 미세~ 중세 범위의 파동을 표시했다.

위의 그림을 볼때, 균형표의 역전과 호전은 중기 추세의 시작과 끝에서 발생하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약 76일이 경과하자 그와 비슷한 기간동안 횡보 시세를 보인다.

횡보시세가 마무리된 후, 재차 균형표가 역전되고 중기 추세가 다시 나타난다.

 

예시는 하나 뿐이지만, 균형표는 중기추세를 포착하기에 적합하다.

결론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를 이용하여 매매한다면, 적절한 보유기간은 중세 유지기간 동안이다.

따라서, 저점에서부터 76영업일 동안 보유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물론 그 날짜는 분명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고, 전후 9 영업일 정도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LIST